더가즈아
화이자 "남아공발 변이에 백신효과 불분명" 인정 본문
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화이자-바이오엔테크는 텍사스주립대 의과대학(UTMB)과 공동으로 남아공 변이인 B.1.351과 같은 변이 특색을 지닌 바이러스를 배양해 실험실에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(현지시간) 밝혔다.
연구진은 미국에서 흔히 유행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비교할 때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처럼 변형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항체의 보호 수준이 3의 2 정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.
백신 접종이나 과거 감염으로 체내에 생성되는 항체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면역력의 한 축이다.
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는 세포 침투를 돕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생긴 변형이 가장 주목된다. 이 특색 때문에 완치가가 재감염되거나 백신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그간 계속 제기돼왔다.
화이자-바이오엔테크는 남아공발 변이에 자사가 개발한 백신이 예방효과를 지닐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.
로이터 통신은 백신의 효과 유무를 판가름할 항체 보호력에는 설정된 기준이 없기 때문에 3분의 2 감소가 백신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.
그런 맥락에서 화이자-바이오엔테크는 자사 백신이 여전히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고 남아공발 변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예방효과가 약화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.
이번 조사에 참여한 UTMB 연구진 일부도 화이자 백신이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를 상대로도 면역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고수하기도 했다.
한 연구원은 "바이러스 감염을 무력화하는 하한선이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다"며 화이자-바이오엔테크의 백신이 예방효과를 내는 데 필요한 수준보다는 훨씬 위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했다.
그는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의 예방효과를 크게 떨어뜨린다고 하더라도 감염이 중증이나 사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는 데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.
로이터 통신은 코로나19 창궐의 주요 우려 가운데 하나가 중증환자 급증에 따른 의료체계 마비인 까닭에 예방효과가 떨어진 백신에도 효용이 있다고 설명했다.
화이자-바이오엔테크는 변이 바이러스의 위협에 맞서 백신에 투자를 계속하고 있으며 개변조한 백신이나 예방효과 증강용 접종(부스터 샷)을 개발하는 방안을 규제당국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.
'리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 못하는 여직원과 사내연애한 썰 (0) | 2021.02.19 |
---|---|
에너지가 넘쳐나는 텍사스는 왜 한파 피해를 심각하게 입고 있을까? (0) | 2021.02.19 |
익산 아동학대 부부의 잔혹성…폭행 이후 '멍 없애는 방법' 검색 (0) | 2021.02.18 |
강양구 “상반기는 아스트라제네카 하반기는 노바백스” (0) | 2021.02.18 |
세계에서 가장 비싼 집 (0) | 2021.0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