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가즈아
9200만원 점포가 565만원에 낙찰…'패션메카' 동대문의 몰락 본문
서울 동대문 일대 주요 점포들이 법원 경매에서 잇따라 헐값에 팔려나가고 있다. 일부 점포의 경우 감정가의 20분의 1 수준에 매각되는가 하면 열 차례 이상 유찰되고도 여전히 주인을 못 찾는 점포들도 속출하는 분위기다. 유통시장의 중심축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급격히 옮겨간 데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주 수요층인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‘패션 메카’의 명성이 추락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.
19일 법원 경매 전문 기업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최근 서울 중구 을지로6가 헬로우에이피엠 쇼핑몰의 4㎡(전용면적)짜리 점포가 565만2000원에 낙찰됐다. 이 쇼핑몰은 동대문 패션상권에 위치한 전문 쇼핑몰이다. 낙찰금액은 감정가 9200만원의 6%에 불과한 가격이다. 지난해 4월 1530만원에 낙찰된 바 있지만 대금 미납으로 매각이 취소된 후 유찰을 거듭하다 이번에 겨우 새 주인을 찾게 됐다.
동대문 일대에서 헐값 낙찰은 일반화되는 분위기다. 감정가의 20%도 안 되는 가격에 처분되는 점포가 수두룩하다. 18일에는 이 일대 굿모닝시티쇼핑몰 4㎡ 점포가 열 차례 유찰 끝에 감정가 5100만원의 16%인 810만원에 낙찰됐다.
그나마 헐값에라도 새 주인을 찾은 점포는 운이 좋은 편에 속한다. 다음 달 23일 입찰을 실시하는 밀리오레 지하 2층의 8㎡짜리 점포는 13번이나 유찰된 물건이다. 현재 최저 입찰가가 감정가 1억3800만원의 4%인 606만9000원까지 떨어졌다. 이 점포를 비롯해 2~3월에만 동대문 일대에서 17개의 대형 쇼핑몰 점포가 경매로 쏟아져 나올 예정이다.
경매시장의 이 같은 현상은 동대문 상권의 몰락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로 꼽힌다.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가뜩이나 상권이 위축된 상황에서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1년여간 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의 발길이 끊기면서 이 일대 대형 쇼핑몰에서는 상인들의 퇴점이 줄을 잇고 있다.
'리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 대한민국 상황 (0) | 2021.02.20 |
---|---|
"20만원어치 시키면 배달비 천원"…황당 금액 왜? (0) | 2021.02.19 |
열선 버스 정류장 근황 (0) | 2021.02.19 |
일 못하는 여직원과 사내연애한 썰 (0) | 2021.02.19 |
에너지가 넘쳐나는 텍사스는 왜 한파 피해를 심각하게 입고 있을까? (0) | 2021.02.19 |